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Fendi)가 한국의 전통 매듭 장인과 협업해 선보인 핸드백이 중국 누리꾼들로부터 "문화 도용"이라는 비난을 받으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펜디 측은 해당 제품의 홍보 콘텐츠를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펜디, 한국 매듭 장인과 협업한 ‘바게트 백’ 공개

지난해 말, 펜디는 서울시 무형문화재 13호 김은영 매듭 장인과 협업해 특별한 디자인의 ‘바게트 백’을 선보였다. 이번 협업은 펜디의 대표 상품인 바게트 백에 각국의 전통 공예 기술을 접목해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핸드 인 핸드(Hand in Hand)’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
김은영 장인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2호인 김희진 선생에게 사사받아 1966년부터 한국 전통 매듭을 연구해온 인물이다. 그의 손길을 거친 펜디의 바게트 백은 한국 전통 매듭 기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주목받았다.
중국 네티즌 “중국 전통 매듭 도용” 억지 주장
그러나 중국 누리꾼들은 이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했다. 중국 관영 매체인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는 28일 “중국 네티즌들이 펜디의 협업 제품이 중국 문화를 도용했다며 항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웨이보(Weibo)에서는 ‘#FendiChineseKnot(펜디 중국 매듭)’이라는 해시태그가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 매듭 기술인데 한국의 장인 정신을 강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펜디는 중국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며 거센 항의를 이어갔다. 심지어 “저작권 침해로 고소해야 한다”, “또 중국 문화를 훔친다”는 주장도 나왔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매듭은 당나라와 송나라 시기에 시작되어 명나라와 청나라 때 인기를 끌었던 전통 장식 기술”이라며 중국의 문화적 기원임을 강조했다.
펜디, 중국 반발에 홍보 콘텐츠 삭제…제품도 철회?
중국 내 논란이 커지자 펜디 측은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관련 홍보 콘텐츠를 삭제했고,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해당 제품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글로벌타임스는 “펜디 중국 고객서비스 부문이 해당 문제와 관련해 수많은 항의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펜디가 중국 시장을 고려해 제품 판매를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펜디 사이트 바로가기
서경덕 교수 “중국, 자랑할 문화 없나?” 직격탄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 전통 매듭을 중국 것이라고 우기는 건 어이가 없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중국의 삐뚤어진 중화사상과 문화 패권주의적 태도는 결국 중국을 전 세계에서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화 논란, 반복되는 한중 갈등
최근 몇 년간 한국과 중국 간 문화적 기원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한복, 김치, 갓 등 한국의 전통 문화 요소들이 중국에서 “중국 기원”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갈등이 커졌다. 이번 펜디 매듭 핸드백 논란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국제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중국이 더욱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다”며 “체계적인 문화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펜디 측은 이번 사안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향후 제품 판매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뷰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바 미스트형 세럼: 달바 제품 라인업 총정리 & 승무원들이 극찬한 기내 필수 보습템의 비밀 (0) | 2025.03.06 |
---|---|
스타벅스 콜라보 스탠리 핑크 텀블러, ss스탠리러브캔쳐텀블러 온라인 전용 상품 구매하기 바로 가기! (0) | 2025.03.03 |
3000원 영양제 철수… 일양약품, 다이소 판매 중단! 대형 제약사 ‘불매 위기’ (1) | 2025.02.28 |
정경미도 맞았다! ‘이 시술’로 이마 주름 싹… 보톡스 효과와 부작용 총정리 (0) | 2025.02.27 |
봄철 피부를 지키는 필수템! 닥터지 레드 블레미쉬 수딩 세럼 리뷰 (0) | 2025.02.25 |